반응형
7월 첫째 주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은 금속·전기·가스 등 방어적 원자재·유틸리티 섹터를 중점 저가 매수했고, 기관은 금융·전기전자·화학에 순매수를 확대했습니다. 반면 기계·장비와 운송장비/부품은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업종별 수급 엇갈림이 두드러졌습니다. 글로벌 금리·원자재 흐름과 반도체 실적이 다음 주 시장 주도 섹터 판가름의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.
주간 증시 요약
KOSPI는 주간 +0.62p(+0.02%) 소폭 상승해 7/4일 3,056.56으로 마감했습니다. 장중 3,080선을 돌파했으나 트럼프 관세 리스크와 차익실현으로 하루에만 –2% 급락하며 상승폭 대부분 반납했습니다.
KOSDAQ는 주간 +6.55p(+0.84%) 올라 788.11에 마감했으며, 기관의 저가 매수 유입으로 2주 만에 반등에 성공하며 성장주 수급이 회복되었습니다.
KOSDAQ는 주간 +6.55p(+0.84%) 올라 788.11에 마감했으며, 기관의 저가 매수 유입으로 2주 만에 반등에 성공하며 성장주 수급이 회복되었습니다.
수급 요약 :
- 외국인 KOSPI +2,476억 순매수, KOSDAQ –1,845억 순매도
- 기관 KOSPI –2,854억 순매도, KOSDAQ +2,089억 순매수
주도 업종 :
- 외국인: 전기·전자·금융·화학
- 기관: IT서비스·의료정밀기기·통신
주간 증시 주요 이슈
1) 7월 4일, KOSPI –2% 급락…트럼프 관세 경고 + 차익실현 압박
- 트럼프 전 대통령, "여러 국가에 관세 서한 발송 예정" 발언 → 무역 불확실성 부각
- 여기에 전월 급등세에 따른 차익 실현 물량이 겹치며 지수 급락
- 기관은 하루에만 약 4,400억 순매도, 외국인은 제한적 대응
2) 상법 시행령 개정안 발표(7/2)
- 법무부가 3%룰 폐지, 사외이사 연임 제한 완화 등을 포함한 상법 시행령 개정안 공개
- 기업 지배구조 개선 방향으로 대형 지주사·금융지주·지배구조 관련주들에 정책 수혜 기대
3) 반도체 랠리 지속, AI 서버·HBM 기대 유효
- SK하이닉스·삼성전자 강세,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주간 +2%
- 기관은 반도체 장비 일부 차익 실현, 외국인은 반도체 중심 매수 유지
4) 원/달러 환율 급등…7월 4일 기준 1,386.5원
- 달러 강세 + 위안화 약세로 원화 약세 확대, 외국인 수급엔 부담 요인
5) 기관, 코스닥 중심으로 수급 회복
- 의료기기·IT서비스·2차전지 낙폭과대 종목 중심 매수
- 연기금·투신의 선별적 순매수 지속
6) 미국 고용지표 혼조 → 금리 인하 기대 여전
- 6월 ADP 민간 고용 예상 하회, 실업률 4.1%로 상승
- 9월 금리 인하 가능성 CME 기준 72% 유지
7) 국제유가 상승세…WTI 주간 +4.5%
- 중동 리스크 여전, 유가 반등 → 일부 에너지주 단기 반등 시도
주간 외국인·기관 순매수 상위 10선
순위 | KOSPI | KOSDAQ | ||
---|---|---|---|---|
외국인 | 기관 | 외국인 | 기관 | |
1 | 삼성전자 | 삼성전자 | 실리콘투 | 리가켐바이오 |
2 | POSCO홀딩스 | 셀트리온 | 휴젤 | 에이비엘바이오 |
3 | 두산 | POSCO홀딩스 | 디어유 | 알테오젠 |
4 | 이수페타시스 | 현대차 | 파마리서치 | 이오테크닉스 |
5 | LIG넥스원 | 한화솔루션 | 아이티센글로벌 | 비올 |
6 | LG화학 | LG에너지솔루션 | 비에이치아이 | 에스티팜 |
7 | 현대건설 | LG화학 | 와이지엔터테인먼트 | 디앤디파마텍 |
8 | 삼성바이오로직스 | 기아 | 지아이이노베이션 | 지엔씨에너지 |
9 | LG에너지솔루션 | 신한지주 | CJ ENM | 에스앤에스텍 |
10 | 키움증권 | KB금융 | 메디톡스 | 에스엠 |
반응형
외국인·기관순매수 흐름 - 업종별 핵심 포인트
7월 1주차 수급 요약 표
1) 외국인 매매동향
순위 |
업종명 |
순매수 금액(억) |
특징·관전 포인트 |
---|---|---|---|
1 | 금속 | 2,338 | 글로벌 원자재 수요 회복 기대감에 금속·광산주 저가 매수 유입 |
2 | 전기/전자 | 1,758 | AI·5G 수혜 반도체·가전주 중심 대규모 순매수 |
3 | 전기/가스 | 1,390 | 유틸리티·에너지 업종 방어 매수세, 배당 매력 부각 |
기타 유입 | 오락/문화 | 663 | K-콘텐츠·엔터 주가 저가 매수세 유입 |
기타 유입 | 유통 | 631 | 내수 회복 기대감 속 유통업체 저가 매수 |
대규모 순유출 | 운송장비/부품 | −5,210 | 자동차 부품주 차익실현 매물 출회, 수출 둔화 우려 |
2) 기관 매매동향
순위 |
업종명 |
순매수 금액(억) |
특징·관전 포인트 |
---|---|---|---|
1 | 금융 | 3,367 | 금리 인하 기대감 속 은행·증권주 순매수 강화 |
2 | 전기/전자 | 3,116 | 반도체·디스플레이 설비 투자 확대 기대에 따른 저가 매수 |
3 | 화학 | 2,521 | 정제마진 회복 및 친환경 소재주 저가 매수 기회 포착 |
기타 유입 | 제약 | 2,424 | 글로벌 톡신·필러 수요 확대 기대감 반영 |
기타 유입 | 금속 | 1,671 | 2차전지·소재 중소형주 저가 매수 확대 |
대규모 순유출 | 기계/장비 | −2,395 | 설비투자 축소 우려에 따른 반도체 장비주 차익실현 |
- 외국인은 금속→전기·전자→전기·가스 순으로 대규모 저가 매수를 진행하며, 방어적 에너지·원자재 섹터로 포트폴리오를 재편성.
- 기관은 금융→전기·전자→화학 위주로 매수하며, 전통 산업과 금융 업종에 비중을 확대—반면 기계/장비에서는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.
- 특히 전기·전자 업종은 외국인 순매수 2위이자 기관 순매수 2위로 공통된 관심사지만, 외국인의 매수 규모 대비 기관의 저가 매수 타이밍이 엇갈려 단기 변동성에 주의 필요.
- 7월 1주차에는 글로벌 원자재 가격과 금리 인하 기대, 반도체 수요 추이를 종합해 양 시장의 주도 섹터 지속 여부를 가늠해야 할 시점.
증시 자금 동향
- 고객예탁금 : 66.3조 (1주전 대비 -4.0%)
- 신용잔고 : 20.8조(1주전 대비 +1.2%)
반응형
'시장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5년 7월 2주차 주간 국내 증시 요약(7/7~7/11) (95) | 2025.07.12 |
---|---|
2025년 상반기 국내 주식시장 리뷰– 섹터별 대표지수, 주요 이슈, 그리고 상반기 시장의 흐름 (42) | 2025.07.09 |
2025년 상반기 "연기금은 뭘 샀을까?" (166) | 2025.07.09 |
주간 국내 증시 요약 : 6월 4주차 (29) | 2025.06.28 |
주간 국내 증시 요약 : 6월 3주차 (18) | 2025.06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