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시장분석

25년 7월 2주차 주간 국내 증시 요약(7/7~7/11)

by 재테크 삼촌 2025. 7. 12.
반응형

2025년 7월 2주차 국내 증시 요약: KOSPI는 트럼프 관세·차익실현 압박 속 소폭 하락, KOSDAQ은 외국인·기관 유입에 2주 연속 반등. 외국인은 제약·화학·유통 중심 매수, 기관은 금융·금속·유통 업종에 베팅. 금통위 금리 동결·반도체 랠리·글로벌 증시 흐름 분석.

주간 증시 요약

KOSPI는 주간 –7.46p(–0.23%) 하락해 7/12일 3,176으로 마감했습니다.
장중 3,200선을 재돌파하기도 했으나, 트럼프 관세 리스크와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주 후반 하락 전환했습니다.

KOSDAQ은 주간 +2.36p(+0.30%) 올라 805에 마감했으며, 기관과 외국인 매수세 유입으로 2주 연속 반등에 성공했습니다.

수급 요약 : 

  •  외국인 : KOSPI +4,830억 순매수 /  KOSDAQ +4,700억 순매수
  • 기관 : KOSPI –2,725억 순매도 /  KOSDAQ –4,002억 순매도

주도 업종 :

  • 외국인 : 제약, 화학, 유통, 운송장비/부품
  • 기관 : 금융, 금속, 유통, 운송/창고

주간 증시 주요 이슈

1. 트럼프, 대(對)한국·일본 25% 관세 부과 예고 및 유예기한 연장

  • 7/7,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일본·한국 등 주요국 대상 25% 관세 부과를 발표하고, 도입 시기를 8월 1일로 연기
  • 구리 50%, 브릭스 국가 대상 관세 추가 예고 → 시장 불확실성 확대 .
  •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 강화 의지를 표시

2. 외국인 투자자, 코스피 중심 아시아 주식 순매수 지속

  • 6월 전체 아시아 시장에서 외국인 순매수 60억달러, 한국도 포함. 반도체·기술주 중심 수급 회복 .
  • 골드만삭스는 “관세 안 확실성보다 예측 가능성이 중요하다”며, 예고된 관세가 긍정적 측면도 있다고 분석 .

3. 미국 증시 혼조 및 기술·소형주 분화 지속

  • S&P·다우 소폭 조정, 나스닥 보합, Russell 2000 소형주는 +0.7% 상승.
  • 구리 +13%, Dow Inc. +5.7% 등 소재·산업재·에너지업종 강세
  • 글로벌 AI 열풍 속 엔비디아 시총 4조 달러대 기록에도 관세 리스크는 여전 .

4. 옵션 만기·반도체 랠리 지속

  • 옵션 만기 국면 중 기술주 강세 지속. SK하이닉스·삼성전자 등 국내 반도체주에도 긍정적 압력.

5. 금통위, 기준금리 2.50% 동결 (7/10)

  • 만장일치로 현행 유지. 소비자물가 안정, 부동산 과열·가계부채 우려 반영 .
  • 관세 리스크에도 대응할 수 있는 비전통 정책(RP 확대 등) 검토 지속
  • 위원 4명 “향후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” 언급
반응형

주간 외국인·기관 순매수 상위 10선

순위 KOSPI  KOSDAQ 
외국인 기관 외국인 기관
1 SK스퀘어 삼성중공업 알테오젠 알테오젠
2 SK하이닉스 삼성에스디에스 파마리서치 리가켐바이오
3 기아 LIG넥스원 리가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
4 삼성중공업 LG에너지솔루션 HLB 디앤디파마텍
5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물산 에이비엘바이오 코스메카코리아
6 이수페타시스 SK스퀘어 휴젤 우리기술투자
7 달바글로벌 LG화학 에스엠 JYP Ent.
8 현대로템 신한지주 에코프로비엠 이오테크닉스
9 HD현대 현대모비스 온코닉테라퓨틱스 에스앤디
10 대한항공 한화비전 삼천당제약 에너토크

반응형

외국인·기관순매수 흐름 - 업종별 핵심 포인트

7월 1주차 수급 요약 표

1) 외국인 매매동향

순위

업종명

순매수

금액(억)

특징·관전 포인트

1 제약 +2,404 글로벌 제약·바이오 투자 확대, 실적 모멘텀 강화 기대감 유입
2 화학 +1,454 정제마진 회복 및 친환경 케미컬 수요, 대형 화학주 저가 매수세 유입
3 유통 +1,086 내수 소비 경기 회복 기대, 주요 유통기업 저가 매수
기타 유입 운송장비/부품 +1,258 친환경차·자동차 부품 실적 개선 기대, 외국인 저가 매수 지속
기타 유입 음식료/담배 +317 방어주·내수소비주 강세, 식품주 저점 매수세 유입
대규모 순유출 IT 서비스 -2,801 성장주 선호 약화, 실적 우려 속 차익실현 물량 출회
외국인은 제약, 화학, 유통 업종에서 대규모 순매수를 기록했으며, 방어주 및 내수 관련 업종에 집중하는 모습. 자동차·식품 등 실적 기대주로도 포트폴리오를 다변화. IT 서비스, 통신 등 성장주·배당주에서는 차익실현 중심의 순매도세

2) 기관 매매동향

순위

업종명

순매수

금액(억)

특징·관전 포인트

1 금융 +4,578 금리 인하 기대감, 은행·증권주 위주 기관 자금 유입
2 금속 +1,590 2차전지·소재 산업의 저가 매수, 글로벌 원자재 가격 반등 기대
3 유통 +322 내수 소비 업황 개선 기대감 반영, 주요 유통주 저가 매수세
기타 유입 운송/창고 +313 물류 회복 기대, 기관 저가 매수 유입
대규모 순유출 전기/전자 -7,415 반도체 경기 불확실성, 차익실현 매물 대거 출회
기관은 금융, 금속, 유통 업종에서 순매수를 이어가며 전통 경기민감 업종에 대한 비중을 확대. 반면, 전기·전자(반도체), IT 서비스 등에서는 실적 불확실성 및 차익실현성 매물이 집중적으로 출회됨. 건설 섹터도 약세.
반응형

3) 총평

  • 외국인은 제약, 화학, 유통 업종에서 매수세를 강화하며, 단기적으로 내수 방어주 및 실적 모멘텀 업종 중심의 포트폴리오 전환 흐름이 나타남.
  • 기관은 금융·금속·유통에 집중하는 반면, 전기/전자·IT 서비스·건설 등에서는 뚜렷한 매도 우위를 보여 업종별 수급 쏠림이 뚜렷.
  • 특히 전기·전자 업종은 외국인 순매수 2위이자 기관 순매수 2위로 공통된 관심사지만, 외국인의 매수 규모 대비 기관의 저가 매수 타이밍이 엇갈려 단기 변동성에 주의 필요.

증시 자금 동향

  • 고객예탁금 : 65.9조 (1주전 대비 -0.5%)
  • 신용잔고 : 21.0조(1주전 대비 +1.1%)

고객예탁금 및 신용잔고 추이
고객예탁금 및 신용잔고 추이

 

7월 2주차 증시 요약
7월 2주차 증시 요약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