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수출입통계

2025년 7월 헬스케어 수출 동향 요약(7.20일 수출 통계 기준)

by 재테크 삼촌 2025. 7. 21.
반응형

1. 품목별 수출 현황 (2025년 7월, 단위: 백만 달러)

  1) 월별 기준

  • 원료 의약품: 171 (YoY -24.3%, MoM -44.5%)
  • 완제 의약품: 136 (YoY -35.7%, MoM -69.7%)
  • 인체용 백신: 20.5 (YoY -28.3%, MoM -4.8%)
  • 진단키트: 48.0 (YoY -9.3%, MoM -9.9%)
  • 치과 임플란트: 78.5 (YoY +27.3%, MoM -1.5%)
  • 척추 임플란트: 2.0 (YoY +49.3%, MoM +17.6%)
  • 인공관절: 3.2 (YoY +159.5%, MoM +51.5%)
  • 스탠트류: 15.8 (YoY -23.2%, MoM -10.0%)
  • X-레이 부품: 25.2 (YoY -2.6%, MoM -30.8%)

  2) 12개월 누적 기준(24.08~25.07)

  • 원료 의약품: 3,650 (+30.1%)
  • 완제 의약품: 2,464 (+30.8%)
  • 인체용 백신: 302 (+32.0%)
  • 진단키트: 653 (+2.5%)
  • 치과 임플란트: 778 (-12.6%)
  • 척추 임플란트: 18 (+21.7%)
  • 인공관절: 28.5 (+67.0%)
  • 스탠트류: 204 (+7.2%)
  • X-레이 부품: 336.7 (-6.0%)

2. 주요 특징 및 시사점

1. 제약(원료·완제) & 백신 모두 큰 폭의 감소

  • 7월 기준 의약품, 백신 모두 전년 동월 대비 20~35% 이상 감소.
  • 전월 대비로도 두 자릿수 급감.
  • 원인: 일부 대형 수출 계약의 이연, 글로벌 재고조정, 원/달러 환율 등 불확실성.
  • 12개월 누적은 여전히 두 자릿수 성장을 유지, 하지만 월별 변동성 확대 주의 필요.

2. 진단키트: 포스트 코로나 시황 정체

  • 7월 실적 역시 YoY·MoM 모두 마이너스.
  • 팬데믹 특수 소멸 이후 실적 저성장 구간 진입.
  • 12개월 누적 성장률은 플러스지만, 성장세는 둔화 중.

3. 임플란트·인공관절 등 일부 의료기기만 성장세

  • 치과 임플란트, 척추 임플란트, 인공관절 등 일부 품목은 플러스 성장 유지.
  • 특히 인공관절, 척추 임플란트는 고령화·신흥국 수요 증가로 빠른 성장.
  • 그러나 치과 임플란트는 누적 기준으로는 마이너스, 중화권 부진 영향 지속.

4. 기타 의료기기(스탠트, X-ray 부품): 약세 전환

  • 스탠트류, X-ray부품 모두 7월 기준 YoY·MoM 동반 감소.
  • 일부 품목은 누적 기준으로도 역성장

상세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!!!

 

25년 7월 수출 잠정치(7.1~7.20) 분석: 헬스케어

7월 1~20일 잠정 집계된 헬스케어 수출 실적(원료의약품·완제의약품·백신·진단키트 등)을 기반으로 MoM·YoY 변동을 분석하고, 주요 투자 포인트와 리스크를 짚어드립니다. 확정치 전 조기 인사이

jbeom73.tistory.com

 

 

“본 게시물의 내용은 일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, 이를 바탕으로 한 투자 결정 및 그에 따른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.”

대표 이미지
대표 이미지

반응형